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유교3

cover_item_thumbnail 《대학》장구 서문, 유교 주자학 경전, 중국 고전 철학 사서오경 주희 명언 어록 모음 《대학》(大學) 사서오경의 하나인 유교 경전. 본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으나, 송나라 시대에 성리학이 확립되면서 사서의 하나로 받아들여졌다. 《대학》의 원작자에 대해서는 정설이 없는데, 주희는 경문 1장을 증자가 지었고, 전문 10장을 증자의 문인이 해설했다고 주장하였다. 경문은 성인이 직접 언급한 진리, 전문은 성인에 버금가는 현인이 경문을 정리한 것이라는 의미이다. 삼강령을 밝힌 부분을 경문으로, 팔조목을 밝힌 부분을 전문으로 보았다. 주희는 사서체제를 정립하면서 공자(논어) -> 증자 -> 자사(중용) -> 맹자(맹자)의 도통이 필요했고 이 과정에서 대학을 증자의 저서라 하진 못하더라도 증자와 관계있는 책으로 만들었다. 주희가 정이의 설을 따라 3강령 중 ‘親民’을 ‘新民’으로 고치고, 본.. 2022. 7. 14.
cover_item_thumbnail 동북아시아 유교의 스승 공자 명언 어록 공자 孔子 (기원전 551년 ~ 기원전 479년) 유교의 시조(始祖)인 고대 중국 춘추시대의 정치가 · 사상가 · 교육자이고, 노나라의 문신이자 작가이면서, 시인이기도 하였다. 유가 사상과 법가 사상의 공동 선조였다. 1. 벗이 먼 곳에서 찾아오면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 유붕자원방래 불역락호) 2. 아는 것이란 무릇 알면 안다 하고, 모르면 모른다고 하는 것이니라. 3. 배우고 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공자, 공부명언) 4. 모르는 것은 모른다 하는 것이 앎이다. (不知爲不知,是知也 / 부지위부지,시지야) 5. 사람과 짐승은 소소한 차이가 있을 뿐이고, 대부분의 사람은 그 차이조차 없다. 6. 군자는 말은 어눌해도 행동에는.. 2022. 1. 31.
cover_item_thumbnail 맹모삼천지교, 유교 사상가 맹자 명언 어록 모음 33선 맹자, 孟子, Mèngzǐ, Mencius, (기원전 372년?~기원전 289년?) 공자의 사상을 이어 발전시킨 유학자이다. 전국 시대 추나라 사람으로 이름은 가(軻)이고, 자는 자여(子輿) 또는 자거(子車)이다. 어릴 때부터 공자를 숭상하고, 공자의 사상을 발전시켜 유학을 후세에 전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 생몰 연대는 정확하지 않지만, 맹자는 공자가 죽고서 100년쯤 뒤 산둥성 쩌우청에서 태어났다. 그가 활약한 시기는 대체로 기원전 4세기 전반기다. 어머니 장(仉)씨는 맹자를 훌륭하게 키우기 위해 세 번 이사를 했다는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로 유명한 현모로서, 어머니에게도 큰 감화를 받으며 학교의 수업을 마친 뒤, 공자의 고향인 노나라로 가서 공자의 손자인 자사의 문인에게서 공자가 편찬한 육경을.. 2022. 1.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