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으로는 인권 환경을 말로만 떠들었다. 이제는 인권과 환경 즉 사회 윤리적 가치를 가지고 금융화 시켜서 한 국가나 기업에 투자를 하거나 자금을 빼서 제재를 가할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을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 사회 지배구조,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라고] 라고 일컫는다. 본문에서 이에 대해 알아보자.
ESG란 무엇인가?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를 뜻하는 말이다. 투자 의사결정 시 '사회책임투자'(SRI) 혹은 '지속가능투자'의 관점에서 기업의 재무적 요소들과 함께 고려한다. 사회책임투자란 사회적·윤리적 가치를 반영하는 기업에 투자하는 방식이다.
기업의 재무적 성과만을 판단하던 전통적 방식과 달리, 장기적 관점에서 기업 가치와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등의 비재무적 요소를 충분히 반영해 평가한다. 기업의 ESG 성과를 활용한 투자 방식은 투자자들의 장기적 수익을 추구하는 한편, 기업 행동이 사회에 이익이 되도록 영향을 줄 수 있다.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업과 투자자의 사회적 책임이 중요해지면서 세계적으로 많은 금융기관이 ESG 평가정보를 활용하고 있다. 영국(2000년)을 시작으로 스웨덴, 독일, 캐나다, 벨기에, 프랑스 등 여러 나라에서 연기금을 중심으로 ESG 정보 공시 의무 제도를 도입했다. UN은 2006년 출범한 유엔책임투자원칙(UNPRI)을 통해 ESG 이슈를 고려한 사회책임투자를 장려하고 있다.
위 그림은 이코노미스트지와 타임지의 표지이다. 위대한 리셋, 이제 ESG로 국제 질서가 개편된다. 옛날 때는 "환경 인권 이게 될까? “라고 했지만 놀랍게도 이제는 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파리 협약 탈퇴 이후 미국과 한국의 행보는?
실질적으로 ESG를 통해 비윤리적이거나 비인도적인 행위를 하며 또는 지구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기업들에 투자 자금을 철회하거나 이와 반대로 환경이나 인권을 고려하는 기업에는 투자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 것이다. 인권이나 환경을 문제 삼아 합법적으로 기업이 부도까지 날 수 있게 되었다.
쉽게 말하자면, 소위 이야기하는 착한 기업, 윤리기업, 환경기업 등을 돕기 위한 “윤리적인 자금”인 것이다. 그래서 이 윤리적인 자금이 나쁜 기업에 쓰이면 안 된다는 것이다. 매일경제 제목에서 G2 격전이라고 하지만, 중국과 미국 중 실은 이미 미국이 ESG 시장을 다 점유했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격전이라고 볼 수 없다.
최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파리 기후 협약 탈퇴 소식을 들은 바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마치미국이 환경에 대해 크게 신경 쓰지 않은 것처럼 보였다. 이에 중국 등 다른 국가들도 환경에 대해 크게 고려하지 않고 안심했겠으나, 미국은 커튼 뒤에서 이미 ESG를 준비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는 병법 36계중 승전계인 만천과해와 이일대로의 전략을 사용한 것이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제조업 공장 기업들의 리쇼어링을 주장하고는 했었다. 허나 뒤에선 미리 환경에 대한 대비를 다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업들과 ESG 정책을 보면 이는 PC주의 정치적 올바름과 매우 연관성이 많다. 이로 미루어 보면, 정치적으로는 좌파가 상당한 기간 동안 집권하고 실권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ESG 투자자산 증가는 2014년부터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미국과 유럽에서 그 투자가 가장 활발히 일어나고 있으며, 최근 일본과 한국도 그 영향을 받고 있다. 이제 소위 이른 바 착한 기업에 투자하면 돈을 버는 시대가 온 것이다. 사회적 가치와 친환경 투자를 중시하다 보니, 기술개발의 약화를 초래할 수도 있다. 또한 ESG 투자를 받는 기업들의 수익률은 증가하게 되고 소외되는 기업은 수익 하락의 악순환이 불가피할 것이다. 합법적으로 부도나게 만들 수도 있다. 이는 모건스탠리 캐피털 인터내셔설의 각종 ESG지수가 나타내는 지표들이라고 한다.
한 마디로, ESG를 가지고 수많은 기업들의 투자와 성패를 좌지우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헤게모니를 미국이 잡았다는 것이다. 이 중요한 것을 알아볼 수 있는 눈이 있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스튜어드쉽코드 행사가 빈번한데, 이는 정치성향 좌파 측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대기업에 여러 가지 비판을 하며 공격해 그들의 경영권 제한하려고 하는 일들을 일컫는다. 예를 들면, 삼성 때려잡기이다. 그 결과 국내 이재용 삼성 부회장이 경영권 승계를 하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런 것들이 ESG의 한 맥락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삼성을 잡으면, 그 영업이익이 대한민국의 서민들에게 이익이 분배될까? 그것은 아닐 것이다.
ESG 투자의 지속적인 성장과 새로운 세계 질서의 개편
통계에 따르면, ESG 투자는 일취월장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에서도 막대한 양의 투자가 최근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심지어 ESG는 틀린 것도 아니다. 윤리도 환경도 모두 추구해야 하는 것도 맞는 이치며, 이를 통해 수익까지 창출되는 것이다.
ESG로 인한 사업 실패 사례로는, 미국의 석유공룡인 엑슨모빌이라는 기업이 환경문제로 다우존스에서 퇴출 당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 기업은 뉴욕증시에서도 20년 10월 장중 미국 최대 신재생 에너지 업체 넥스테라 에너지(NextEra에 잠깐 밀렸었다. 곧장 다시 넥스테라 에너지를 앞질렀지만, 세계적인 석유업체가 에너지 부문 주식 시총 1위 자리를 신재생 에너지 업체에 넘겨준 기념비적인 사건이라고 볼 수 있다. CNN방송은 이번 사건이 화석연료와 청정에너지의 엇갈리는 미래 전망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milestone)이라고 평가했다. 글로벌 투자은행 UBS 또한 “전통 에너지에서 신재생 에너지로의 전환이 앞으로 수십 년간 이어질 흐름이라는 것을 분명히 보여주는 사례”라고 발표했다.
4차 산업혁명 이후, AI시대로 접어들고, 미국이 패권을 유지하는데 전통적으로 석유로 세계를 경영했다면, 이제는 다른 것으로 하게 될 것이다. 역사적으로 미국은 걸프전이나 테러와의 전쟁에서 세계적으로 국가 이미지가 손상되었고, 이를 통해 배웠을 것이다. 논란의 소지가 있는 전쟁이나 군사행동은 비난을 받을 수 있고 이미지에 손상을 입기 때문에, 국가 이미지 적으로 ESG만큼 좋은 재료는 없다. 총대신 자금으로 전쟁을 하는 것이다. ESG를 내세우면 정의로운 이미지를 얻게 될 것이고, 미국은 이미 청사진을 그리고 점진적으로 변화하고 바꾸고 있다.
앞으로 새로운 세계 질서로 개편되는 시대에 사는 우리는 변화에 적응하고 생존하려면 ESG의 추세와 움직임에 주의를 기울여야하지 않겠는가?
'문화 & 이슈 > 문화 &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전라북도와 중국 남부지역 지명과 배치의 유사성 (0) | 2021.02.20 |
---|---|
서울대 권장도서 100선 목록 (0) | 2021.01.20 |
해양경찰 20년 제3차 채용 시험 코로나로 일정 연기!(해경 경쟁률 포함) (0) | 2020.12.28 |
티스토리 애드센스 플러그인 사라져도 상단 광고 2개 추가하기 (0) | 2020.12.23 |
코로나 3단계 격상되나? 정부 코로나 3단계 조치! (0) | 2020.12.12 |
댓글